아두이노로 구부러짐 측정하기 안녕하세요 고군입니다~이번 시간에는 휨 센서(Flex Sensor)에 대하여 알아보고 아두이노에 연결하여 동작을 시켜보겠습니다. 모양은 위 그림과 같이 길쭉한 형태로 생겼고 얇은 필름으로 덮여 있습니다. 이름 처럼 휘어지면서 구부러짐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바뀌게 됩니다. 휨 센서는 센서 본체를 구부리면 저항값이 변하는 센서입니다. 똑바로 펴진 상태에서의 저항값은 약 10kΩ으로, 구부리면 천천히 저항값이 증가하여 90도일 때 약 30~40kΩ이 됩니다(곡률 반지름에 따라서도 360도까지 구부릴 수 있습니다). 인쇄 면을 바깥쪽으로 해서 구부리면 저항값이 증가하지만, 인쇄 면을 안쪽으로 구부리면 저항값이 점점 줄어들다가 변화를 멈춥니다. 두 개의 휨 센서를 사용해 양쪽 방향의 구부러진 정도를 검출할 수 있.. 더보기 C의 기본적 지식(2) ▶ 문자열의 내부 구조 C언어에서 문자열은 끝에 코드 0(수치 제로)을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abcde"라는 문자열은 메모리 내부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억된다. 따라서 문자열을 표시하려면 [문자열이 길이 +1]의 메모리 영역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문자열을 처리할 때 '0이 나올 때까지 처리를 한다'는 식으로 처리를 하게 된다. ▶ 문자열의 내부 구조 문자열의 끝은 아스키 코드로 0이다. 이것을 표현할 때는 단순히 [0]이라고 쓰는 방법과 이스케이프 문자를 이용해 [\0]이라고 쓰는 방법이 있는데, 모두 동일하게 제로를 의미한다. 그러나 양자에는 다음과 같은 뉘앙스의 차이가 있다. 0 -단순한 수치로서의 0이다. \0 -문자열의 끝으로서의 0이다. 따라서 문자열의 끝을 나타낼 때는 그 의미가 보다 .. 더보기 전기전자 부품_저항기 알아보기 저항(resister)은 저항 성질을 띠는 회로소자로 전자부품중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소자입니다. 저항은 전류나 전압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며 단위는 옴(Ω)을 사용한다. 시중에서 흔하게 보게 되는 저항은 두 개의 다리가 있는 원통형으로 만들어져 있고, 용량값을 표시하기 위해 색띠가 그려져 있습니다. [그림1]저항/저항기의 기호 저항이 있는 도체에 전류가 흐르면, 자유전자와 원자 사이의 충돌에 의해 열이 발생됩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매우 작은 저항을 가진 도선도 충분한 전류가 흐르면 따뜻해 집니다. 오옴 : 저항의 단위 저항 R은 오옴(1787~1854)의 이름에서 따온 오옴이라는 단위로 표현되며, 그리스문자 오메가(Ω)를 단위로 씁니다.1Ω은 1V의 전압이 인가된 도체에 1A의 전류가 흐를 때 존.. 더보기 이전 1 ··· 5 6 7 8 9 10 11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