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VR(ATmaga128) 기초지식(6)_시스템 클록과 슬립 모드 1. 클록 분배 [그림1]에 보여진 것처럼 ATmega128은 다양한 소스에 의해 클록을 발생시키고 분배가 가능하다. 또한 내부의 각 부분은 모두 동시에 클록이 필요치 않아 소비 전력을 절약시키기 위해 개별적으로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 CPU 클록(clkcpu ) : 범용레지스터, 상태레지스터, 데이터 메모리와 같은 AVR 핵심적인 동작과 관련된 클록으로 공급을 차단하면 이들의 동작을 멈추게 한다.● I/O 클록(clkI/O ) : 타이머, SPI, USART 등 I/O모듈 대부분에서 사용되는 클록이다. 외부인터럽트 모듈에서도 사용되나 일부 외부인터럽트는 I/O 클록의 공급이 차단되어도 인터럽트 처리가 된다.● 플래쉬 클록(clkFLASH ) : 플래쉬롬과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며 보통 CPU 클록.. 더보기
AVR(ATmaga128) 기초지식(5)_AVR ATmega128의 메모리(3) 1. 메모리 lock 비트 메모리의 보호를 위해 설정하는데 사용하는 1바이트 구조의 비트로 디폴트로 비트값이 1로 되어 있고 프로그램하면 0으로 설정되고 chip erase명령에 의해 1로 환원된다. 그림 10은 lock비트의 구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림1은 lock비트 값에 따른 모드 설정값과 각 모드에 따른 메모리 보호기능을 보여준다. 그림1 Lock 비트의 구성그림2 Lock 비트설정에 따른 기능 2. 퓨즈 비트 ATmega128의 기본적인 설정용으로 사용되며 Extended Fuse, Fuse High, Fuse Low바이트로 모두 3개의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디폴트로 비트값이 1로 되어 있고 프로그램하면 0으로 설정되고 chip erase명령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메모리 Lock비트의.. 더보기
AVR(ATmaga128) 기초지식(4)_AVR ATmega128의 메모리(2) 1. 외부 데이터 메모리 ATmega128은 노말모드에서 0x1100-0xffff번지에 외부 데이터 메모리로 사용가능하며 이들은 외부 램, 외부 플래쉬 롬 또는 LCD나 AD변환기와 같은 주변장치의 인터페이스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이 제공된다. ① 주변장치와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0-3의 대기 사이클을 지정할 수 있다.② 2개의 섹터로 외부 데이터 메모리를 분할하고 이들에 독립적인 대기 사이클을 지정할 수 있다.③ 16비트 주소의 상위바이트에 중 필요한 갯수의 비트만을 주소 버스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④ 데이터 버스의 신호들이 동작할 때 전류 소비량이 감소되도록 Bus-keeper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1)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 ● 외부 램 연결을 위한 핀 : M.. 더보기